본문 바로가기
희귀도서

국내외 유명 도서관의 희귀본 소장 정책 엿보기

by DAISIES 2025. 8. 9.

국내외 유명 도서관의 희귀본 소장 정책 엿보기

 

 

세계적 도서관이 추구하는 희귀본 소장 철학과 보존 가치

희귀본은 단순한 종이 뭉치가 아니라, 한 시대의 사상·문화·기술을 응축한 살아 있는 기록물이다. 국립도서관이나 대학 부속 도서관 등 세계적 기관들은 희귀본을 수집할 때 ‘문화유산 보존’이라는 명확한 철학을 갖는다. 예를 들어 영국 대영도서관(British Library)은 특정 시대·지역의 지적 자산을 장기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가치가 있는지 여부를 가장 먼저 평가한다. 이는 단순히 책의 희소성만 보는 것이 아니라, 해당 자료가 후대 연구와 교육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까지 고려하는 장서 정책의 핵심이다. 우리나라 국립중앙도서관도 유사한 기준을 적용하되, 국내 출판사와의 협력, 기증 유도, 민간 소장가와의 네트워크 형성 등을 통해 희귀본 확보를 추진한다. 이러한 철학은 ‘희귀본은 인류 공동의 자산’이라는 전제 위에서 작동하며, 소장 자체보다 보존과 활용의 균형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

 

 

희귀본 수집의 절차와 국제적 규범 준수

희귀본의 수집은 단순 매입이나 기증 접수로 끝나지 않는다. 먼저 해당 자료의 소장 이력(provenance)을 철저히 검증하여 불법 반출·약탈·밀매 가능성을 배제해야 한다. 미국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과 프랑스 국립도서관(BnF)은 모두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과 유네스코(UNESCO)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며, 문화재 불법거래 방지를 위한 1970년 유네스코 협약을 실무에 반영한다. 이를 통해 자료의 소유권 분쟁을 사전에 차단하고, 해당 국가의 문화재 보호법과 저작권법을 위반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우리나라 역시 문화재보호법, 도서관법 등 관련 법률에 따라 해외에서의 자료 반입 시 문화재청 허가 절차를 거친다. 이러한 절차는 단순한 형식 요건이 아니라, 희귀본이 공공의 자산으로서 정당하게 확보되었음을 입증하는 중요한 장치다.

 

 

보존·복원 기술과 디지털 아카이빙 전략

희귀본은 종이 산화, 잉크 퇴색, 곰팡이 등 물리적 손상 위험이 높기 때문에, 보존 과학은 도서관 정책의 핵심 축이다. 일본 국립국회도서관(NDL)은 책의 상태에 따라 맞춤형 복원 작업을 수행하며, 가능한 한 원래 재질과 제작 방식을 재현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아카이빙이 필수 전략으로 자리 잡았다. 미국 하버드대 위드너 도서관(Widener Library)은 희귀본을 고해상도 스캐너로 촬영해 장기 보존 서버에 저장하고, 이용자는 디지털 뷰어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국내에서는 고려대·연세대 중앙도서관이 희귀본 디지털화 사업을 적극 추진하며, 일부 자료는 국제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해외 연구자들도 열람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있다. 이는 원본의 물리적 마모를 줄이면서도 학술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전략이다.

 

 

공공 접근성 확대와 미래형 희귀본 관리 모델

희귀본은 보존이 중요한 만큼, 이용 제한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공공 접근성’은 늘 논쟁의 중심에 있다. 과거에는 제한 열람실에서 사전 승인자만 이용할 수 있었으나, 최근에는 VR 기반 가상 열람, 예약제 디지털 뷰어 등 새로운 방식이 도입되고 있다. 독일 바이에른 주립도서관(BSB)은 희귀본을 3D 스캔하여 VR로 체험하게 함으로써 원본 훼손 위험 없이 대중이 감상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국내에서도 국립중앙도서관이 온라인 전시관을 통해 고서·고문헌을 대중에게 개방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 도서관도 지역 문화유산을 알리는 디지털 전시를 시작했다. 향후 희귀본 관리 모델은 물리적 보존, 디지털 활용, 대중 접근성 강화라는 세 축이 균형을 이루는 방향으로 진화할 것이며, 이를 위해 인공지능 기반 메타데이터 분석, 자동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국제 공동 아카이빙 프로젝트가 더 적극적으로 활용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