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1 희귀 도서와 일반 고서의 차이점: 수집가가 반드시 알아야 할 결정적 기준 희귀 도서의 정의: 단순히 오래되었다고 해서 귀한 책이 아니다 대중은 흔히 '오래된 책'을 모두 귀중한 것으로 오해하곤 한다. 그러나 오래되었다는 이유만으로 그 책이 희귀 도서의 범주에 들어가지는 않는다. ‘희귀 도서(Rare Book)’는 시간적 요소 외에도 희소성, 수요, 역사적·문화적 의미, 그리고 물리적 상태 등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가치를 판단한다. 반면 ‘고서(Old Book)’는 출간 연도만으로 정의되며, 내용이나 유통 이력에 관계없이 단순히 출판된 지 오래된 책을 의미한다. 이처럼 희귀 도서는 고서의 상위 개념이 아닌, 전혀 다른 기준으로 분류되는 ‘선별된 존재’이며, 수집가들은 이 차이를 정확히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희소성과 수요의 교차점: 가격을 결정짓는 보이지 않는 손.. 2025. 7. 16. 이전 1 다음